티스토리 뷰

반응형

 

강아지도 추위를 탄다

강아지의 체온은 37.6도 ~ 39.4도 정도로 사람보다 체온이 높다. 그리고 몸이 털로 뒤덮여있어서 사람보다 체온유지가 잘된다. 털옷을 입었으니 강아지는 추위를 잘 안 탄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강아지도 추위를 탄다. 하지만 견종과 크기에 따라가 추위를 느끼는 정도가 달라서 반려인들과 전문가들 사이에서 옷을 입혀야 한다와 아니다로 의견이 나뉜다. 예를 들어, 단모종 대형견이나 몰티즈와 같은 소형견은 시베리안허스키처럼 이중모 대형견에 비해 추위를 더 잘 탄다. 소형견의 경우에는 영상 4도부터 추위를 느낄 수 있고, 대부분의 강아지가 영하 6도 이하부터는 추위를 느낀다. 영하 6도 이하에는 활동을 자제해야 할 만큼 치명적일 수 있다.

강아지 추위타는 증상

강아지가 추워하고 있다고 느낄 때 보이는 증상이 몇 가지가 있다. 우선 가장 쉽게 알 수 있는 예로, 웅크리고 있다. 강아지와 함께 하는 가정이라면 강아지가 상황별로 누워있는 자세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동그랗게 똬리를 틀듯 웅크리고 있으면 강아지가 추위를 타고 있을 확률이 높다. 두 번째로는 사람과 비슷한 행동인데, 이불에서 나오지 않거나 실외로 나가려고 하지 않는다. 우리 미료를 예로 들자면 여름에는 맨바닥에 잘 누워있는 강아지가 러그나 담요, 침대에서 주로 생활하고 심지어는 화장실 발수건 근처에 누워 있는 걸 볼 수 있다. 그리고 산책을 나가고 싶어 해서 데리고 나가면 엘리베이터 문이 열리는 순간 걸음을 멈춘다. 세 번째로는 음수량이 줄어든다.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물을 덜 마시는데, 음수량이 적으면 대사량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잘 챙겨주어야 한다. 

 

겨울 산책 주의사항

집안이나 실내에서만 있던 강아지를 갑자기 강추위에 데리고 나가면 위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산책을 나가기 전 가볍게 근육을 예열해주는 것이 좋다. 마사지를 해주거나 장난감을 이용한 간단한 놀이를 통해 근육을 예열한 뒤 산책을 나가길 권장한다. 사람으로 치면 준비운동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나는 미료의 건강과 함께 내 건강도 챙기며 함께 스트레칭을 한 뒤 산책을 나간다.

눈이 내리고 난 뒤에 조심해야할 점이 있다. 바로 염화칼슘이다. 빙판 방지로 눈 위에 뿌려둔 염화칼슘은 강아지 피부에 닿으면 염증이나 습진이 생길 수 있다. 또한 맨발로 다니는 강아지의 발에 닿으면 화상을 입을 수 있어서 각별히 주의가 필요하다. 그래서 나와 미료는 눈이 내린 직후나 어느 정도 녹았을 때 눈길 산책을 한다. 아무리 조심해도 미세하게 발에 묻어 있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산책 직후 발을 닦아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산책시간이다. 날이 선선할 때에는 40분에서 1시간을 산책해도 쌩쌩한 미료가 겨울철에는 10분이 넘으면 힘들어한다. 그래서 겨울철에는 해가 긴 낮에 10분 정도로 짧게 산책을 하고 개모차를 이용한다.

옷을 입혀야할까

YES! 한국의 한겨울은 대부분 영하의 기온이다. 1 이내로 잠시는 괜찮을지 모르지만 10 이상 산책을 하게 때는 강아지 건강에 치명적일 있으니 강아지 옷을 입혀야 한다. 미료는 옷을 입으면 걷지 않아서 고생을 많이 했는데, 발을 끼지 않은 망토형태로 옷을 입었을 때는 비교적 걸었다. 강아지가 옷을 입는 다면 다행이지만, 만약 옷을 입는다면 망토형태로 옷을 추천한다. 강아지 옷은 인터넷에서 쉽게 구매할 있고, 요즘에는 수제 의류가 되어 있어서 인스타그램에도 찾아보면 다양한 강아지 의류를 구매할 있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